*다듬재단
인쇄물이나 책자의 본문(속장)을 완성치수대로 정확히 재단하는 일
☞ 시아게 재단(×)
*다시짜기
첫 조판한 것을 고치기 위해 교정 지시에 따라 다시 조판하는 작업
*다운
컴퓨터가 작업 도중 더 이상 작동되지 않는 상태
*다운로드
통신망을 통해 파일을 받아오는 것
*다이내믹렌지
화상 입력용 스캐너는 구조에 따라 읽는 농도의 범위가 다르다. 많이 쓰이고 있는 CCD(촬상소자)를 사용한 평면 스캐너는 고화질
입력이 가능하지만 읽는 농도 범위는 광전자증폭관(光電子增幅管)을 사용한 드럼형 스캐너가 더 넓어 고배율, 고해상도의 고품질 색분해가
가능하다. 이와 같은 읽는 농도의 범위를 말한다
*다이렉트디지털
CEPS(전자식 사진제판)에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직접 만들어 낸 원색교정 컬러 하드카피(교정지). 잉크젯, 컬러 인화지, 감열전사
등의 방법으로 교정지를 만들수 있다.
☞ DDCP(○)
*다이렉트스크리닝
색분해 공정을 제판 카메라에서 직접 스크린을 이용해 망촬영과 동시에 색분해까지 작업하는 일
*다이렉트화상인쇄
디지털 데이터를 근원으로 판통에 장착된 특수한 인쇄판에 레이저 시스템 광선을 이용해 직접 빛쬠을 해서 인쇄판을 만들고 인쇄를
하는 시스템. 가늠맞춤이 필요없어 적은 부수는 단시간에 인쇄할 수 있다.
*다이아몬드
영문 활자 4.5포인트의 크기를 말하는 영 · 미식 별칭
*다이크로익미러
특정 파장을 갖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반사, 투과시켜 원하는 파장대의 빛을 얻을 수 있는 반사경. 빛의 간섭을 이용하는 것으로
스캐너너 TV카메라 등의 색분해에 이용된다.
*단(段)
한 페이지분의 판면에서 문자열 방향으로 판면을 나누는 것. 한 개는 전단, 두 개는 2단 등이 됨
*단간(段間)
판면이 여러 단으로 나뉘는 경우 단과 단 사이의 간격
*단락(段落)
한 개의 문단이 끝나는 곳. 한 개 문단에는 여러 개의 문장이 존재할 수 있음. 문단은 별행으로 표시됨
*단말기(端末機)
컴퓨터의 입력 또는 출력 장치. 주컴퓨터의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출력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출력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하는
키보드,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 장치이다
*단번(段番)
본문이 2단 또는 3단으로 되어 있는 경우 면 표시를 단의 수대로 넣어 가는 것
*단색스캐너
단색 사진제판을 목적으로 개발된 소형 스캐너로 현재는 사진, 선화, 문자원고 등의 입력용으로 널리 쓰인다. 기종은 주로 평면형(flat
bed type)이 많다.
|